2017년 4월 27일 목요일

한글 기본프로그램 설정 (Default Application)


파일관리자에서 선택한 파일을 열거나 웹브라우저에서 다운로드한 파일을 클릭했을 때 연결되는 프로그램을 설정할수 있다.
mimeapps.list 라는 설정파일이 몇군데 위치하고 있는데 프로그램 종류에 사용하는 파일이 다른거같다.
그래서 로컬기준으로 해당파일을 모두 변경해주는 것이 편하다.
Hwp 을 예로 들면 파일관리자(spacefm)은 .config/mimeapps.list 를 참조하는 거같고
chromium에서 다운로드한 파일은 .local/share/applications/mimeapps.list 를 참조하는 같다.

PathUsage
~/.config/mimeapps.listuser overrides
/etc/xdg/mimeapps.listsystem-wide overrides
~/.local/share/applications/mimeapps.list(deprecated) user overrides
/usr/local/share/applications/mimeapps.list
/usr/share/applications/mimeapps.list
distribution-provided defaults


해당 파일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hwp의 mime type 형식을 확인하고 현재 연결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.
이를 위해서는  xdg-utils 라는 툴을 이용하면 편리하다.

# 파일의 mime-type을 확인하기. 예를들면 '리눅스.hwp'의 mime type을 알고싶다면..

$ xdg-mime query filetype 리눅스.hwp
application/x-hwp

# hwp 확장자의 mime-type이 application/x-hwp라는 것을 확인했다. 
#그러면 저 mime-type 이 현재 어떤프로그램과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자.

$ xdg-mime query default application/x-hwp
libreoffice.desktop

# 리브레오피스로 지정되어 있는데 playonlinux로 설치된 한글에 연결해보자.
(hwp.desktop 등의 설정은 해놓았다고 가정한다.)

$ xdg-mime default hwp.desktop application/x-hwp

#이러면 .local/share/applications/mimeapps.list 에 mime-type이 추가된다.
#설정된 기본프로그램으로 hwp파일을 열어보자.

$ xdg-open 리눅스.hwp
참고로 이 외 웹브라우저 기본 설정 등은 아래와 같이 할 수 있다.
# shortcut to open all web MIME types with a single application
$ xdg-settings set default-web-browser firefox.desktop

# shortcut for setting the default application for a URL scheme
$ xdg-settings set default-url-scheme-handler irc xchat.desktop

만약 파일관리자(spacefm, pacmanfm) 등에서 hwp을 더블클릭을 했는데 한글이 실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.config/mimeapps.list 를 직접 수정하든지 윈도우에서 하는거처럼 마우스오른쪽버튼을 클릭해서 속성을 변경해주면 된다.

.local/mimeapps.list
application/x-hwp=Hwp2104.desktop;hwp.desktop;




samba 와 winbind 충돌 문제

잘되던 삼바가 4.9 버전업을 하고 난 후부터 부팅 및 종료 시 에러 메시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. 혹시나 하고 삼바 서비스를 재실행 해보니 에러가 발생했다. # sudo systemctl start smb.service J ob for smb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