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포트포워딩
우선 원격 samba 서버는 iptime 공유기를 통해 사설IP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공유기 자체 포트포워딩이 필요하다.
iptime 제품을 이용하면 도메인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외부에서 공유기로 접속 시
<mydomain.iptime.org:포트> 형식으로 접속이 가능하고
그렇지 않다면 공유기에 할당되어 있는 공인IP를 확인한 후 접속을 시도해야한다.
본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은 아래와 같다.
설정내용을 요약하면 삼바클라이언트가 공유기 13999 포트로 접속을 시도하면 삼바서버(192.168.0.18)의 내부포토 139번으로 포트를 포워딩해준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도메인 : steamnlinux.iptime.org
iptime 포트포워딩 외부포트 : 33333
iptime 포트포워딩 내부포트 : 139
삼바서버 내부 ip는 192.168.0.18 를 항상 할당받고 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. 삼바설정
삼버서버는 Archlinux에 samba라는 폴더가 공유되어 있고 samba ID : samba, 비밀번호는 1111
삼버 서버 설정은 개인별 설정하기 나름이겠고, 로컬내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로 연결이 잘 되는지 확인해보자.
3. 삼바클라이언트 실행
3-1 기본적인 mount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법
# sudo mount -t cifs //linuxnsteam.iptime.org/samba /mnt/samba -o port=13999,username=samba,password=1111,workgroup=WORKGROUP,iocharset=utf8,uid=useraccount
주의할 점은 옵션에서 포트설정이 제일 먼저 위치해야한다. 본인은 그러했다...
그리고 uid는 클라이언트의 현 계정을 지정해주면 읽기 쓰기 등 권한 문제가 없다.
3-2 파일관리자를 이용하는 방법
파일관리자에서는 Ctrl+L 을 실행해서 주소창을 열어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
로그인 창이 뜨면 username ,password 등을 입력한다.
# smb://linuxnsteam.iptime.org:13999/samba
pcmanfm 이나 nautilus 같은 파일관리에서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하나 문제는 읽기전용으로
인식을 해서 수정을 할수가 없다.
마운팅 시 기본적으로 UID 등이 본 계정으로 폴더나 파일의 소유권이 설정되는되도 수정이 안되고 생성된 파일이나 폴더가 안보이거나..하는 문제점으로 추천하지 않는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