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6년 1월 20일 수요일

리눅스 unzip 한글 문제

윈도우는 zip 압축시 파일명 등 코드페이지를 cp949 를 사용하다보니
유니코드(utf-8)를 사용하는 리눅스에서 압축해제시 파일명이 깨져보이게 된다.
압축해제 후 파일명을 convm 라는 툴을 이용해도 잘 안되는 경우가 많고
리눅스에는 반디집처럼 압축해제시 코드를 지정해주는 툴도 없다.
방법은 unzip 컴파일시 -O 옵션이 가능하게 패치 후 컴파일해줘야하는데
나같은 초보는 어렵다.
아치리눅스 경우 AUR에 unzip-iconv , unizp-natspec 라는 꾸러미가 별도로 지원되서
정식 unzip을 지우고 저 둘중 하나를 설치해준다.
다른 배포판의 경우 unzip -O 라는 옵션이 기본으로 지원되는거 같다.

압축파일 해제시 명령어는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$unzip -O cp949 파일명.zip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-O 옵션을 터미널상에서 매번 입력하기 귀찮거나 윈도우매니저의 단축메뉴에서 압축해제 옵션을 적용하기 위해서는
UNZIP 환경변수를 bashrc나 xprofile 등에 넣어서 부팅시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하자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 export UNZIP="-O cp949"
 export ZIPINFO="-O cp949"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xarchiver 에서도 잘된다.

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

samba 와 winbind 충돌 문제

잘되던 삼바가 4.9 버전업을 하고 난 후부터 부팅 및 종료 시 에러 메시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. 혹시나 하고 삼바 서비스를 재실행 해보니 에러가 발생했다. # sudo systemctl start smb.service J ob for smb...